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율 주행 로봇 기술 동향

by 덩크01 2023. 1. 15.

 

자율 주행 로봇 기술 동향

 

커뮤니케이션 로봇 개발

자율 주행 로봇에서는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격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마치 자신이 거기에 있는 것처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LiDAR 이라 불리는 환경 인식에 많이 이용되는 센서로 주변 환경의 정보를 취득해 자동으로 지도 정보를 작성할 수 있어 그 지도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도 정보의 포인트마다 (예를 들면 현관이나 거실 등의) 지명을 티칭하면 지명 데이터로 저장되고,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한 음성 지시에 의해 해당하는 포인트로 이동하거나, 링크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이동하고 싶은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기능도 탑재된 로봇도 있습니다.

 

 

자동 추종 로봇의 등장

자동 추종 자율 주행 로봇은 차세대 AGV 라고도 불리며 레이저 센서로 추종 대상을 구별 합니다. 추종 대상은 로봇 주행 시 정면에 서서 버튼을 눌러 등록하고 등록하면 대상물(사람)을 추종하게 됩니다. 추종 대상이 되고 있는 사람과 그 이외의 사람이 같은 옷을 입고 있는 경우나 같은 얼굴을 하고 있어도 로봇은 실수하지 않습니다. 대상을 추종하고 있을 때 장애물이 있을 경우는 그것을 피해 주행하지만, 추종 대상이 숨어 버렸을 경우는 로봇은 정지합니다

 

 

AMR(Autonomous Mobile Robot) 개발

 

AMR은 자기 위치 추정과 환경지도 작성을 동시에 실시하는 「SLAM」이라고 하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는 로봇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 때문에 자기 테이프 등의 가이드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사람이나 장애물을 자동으로 회피해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전이 필요할 때는 자동으로 충전기와 도킹하여 충전합니다. AMR의 지도 작성은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등의 다수의 센서 시스템에 의해 수동으로 실내를 운행시키는 것만으로 매핑할 수 있다고 하는 최첨단 기술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 로봇의 시장 규모

자율 주행 로봇은 사람을 통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루트 변경할 수 있는 로봇으로서 로봇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 입니다.

자율이동 로봇은 주요 선진국에서의 노동력 부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에서 자율이동 로봇의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포스트 코로나에는 세계 경제의 회복과 함께 로보틱스 산업(특히 물류, 스마트 제조, AV 등의 분야)의 시장이 확대되고, 2026년에는 2019년의 약 4.8배에 해당하는 2860억 달러가 된다고 예측되었습니다.

 

 

자율 주행 로봇의 과제

자율 주행 로봇은 기술 동향과 시장 예측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산업에서 기대되는 로봇입니다. 특히 물류와 운반 업계에서는 향후 사람이 부족해 업계가 붕괴될 위기가 있어 그것을 회피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것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 현재 많은 논의 또한 진행되고 있습니다.

 

법의 정비

현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 로봇은 자동차로 분류돼 운전자 없이 홀로 보행로 이동이 불가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사물을 인식하기 위해 부착된 카메라가 지나가는 행인을 촬영하게 될 경우, 불특정 다수 보행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 같은 규제들로 개발된 로봇들이 배송 사업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전성

자율 주행 로봇을 주행 시킬 때, 자율 주행 로봇에 관여한 적이 없는 제3자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위험이 수반됩니다. 따라서 로봇 제조업체는 2014년에 발행된 국제 안전 표준인 'ISO 13482'에 적합한 로봇을 개발해야 합니다. 하지만 약간 오래된 규격 때문에 최신 기술이 탑재된 AMR에 맞는 안전 규격을 정비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 어린이나 고령자,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에 대한 배려로서 교통 인프라 정비를 진행해야 할 것 입니다.

 

사고시 법적 책임

자율 주행 로봇의 보급이 진행되고 가동 대수가 늘어나면 사람과 로봇 간의 사고는 불가피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봇을 조종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법적 책임은 제조자가 아니라 조종자입니다. 그러나 자율적으로 이동한 로봇이 사고를 일으켰을 경우의 법적 책임의 소재는 제조자인지 조종자인지 아직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술자 확보

자율 주행 로봇의 보급에는 많은 기술자가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자율이동 로봇의 개발에는 자율이동 자체의 지식뿐만 아니라 환경의 파악이나 사람의 행동·인식에 관한 통찰력, 소프트웨어의 개발 능력이 요구됩니다. 젊은 층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자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댓글